처음 레파지토리 생성 후 첫 푸쉬할 때
리미드 파일 생성 및 깃허브 레파지토리 주소 연결
- 리드미 파일 만들기
echo "# sss" >> README.md
- 깃 시작
git init
- 리드미 파일 추가
git add README.md
- 커밋
git commit -m "first commit"
- 브랜치명 바꾸기
git branch -M main
- 원격 저장소 주소 추가
git remote add origin [깃레파지토리 주소]
깃이그노어 파일 만들기 (저장 제외할 파일들 추리기)
1. 커맨드 창에
vim .gitignore
2. gitignore 생성 사이트 들어가기
https://www.toptal.com/developers/gitignore
사이트 들어가서 사용하는 툴과 환경 검색 하여
.gitignore 내용 생성하고 전체 코드 복사
3. 다시 커맨드 창으로 돌아와서 esc 키 누르고
복사한 것을 붙여넣기 해준다.
4. :wq 입력하면 vim 창을 나온다.
원격저장소로 push하기
- 스테이지에 원격저장소로 보낼 파일 및 폴더 올리기
git add [파일이나 폴더명]
(git status치고 거기서 파일명 및 폴더명 복붙)
(git add . 입력시 모든 폴더 및 파일이 스테이징된다.)
- 커밋 메시지 입력
git commit -m "커밋메시지"
- 푸쉬
git push -u origin master
깃허브 레파지토리에서 새로고침하면
예쁘게 푸쉬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.
평소 push 하기
- 변경사항이 있는 파일 확인(add가 되야 하면 빨간색, 되어 있으면 초록색으로 뜬다)
git status
- 스테이지에 파일 및 폴더 올리기
git add [파일명이나 폴더명(git status에서 복붙)]
- commit
git commit -m "커밋메시지"
- push
git push -u origin master
그 밖에 기타 자주 쓰이는 기타 명령어들
- 레파지토리 연결 주소 확인
git remote -v
- 브랜치 추가
git branch [브랜치명]
- 브랜치들 확인
git branch
- 브랜치 바꾸기
git checkout 브랜치명
- 브랜치 삭제
git branch -d 브랜치명
- 깃 커밋 메시지 기록 확인
git log
- 깃 로그창 나가기
q
- 깃허브 저장소에서 로컬로 가져와서 합병 (fetch이랑 머지 한번에)
git pull- 깃 add 취소git reset HEAD 파일명
- 강제 푸쉬
git push -f origin matser
댓글